내 차의 정기 검사 기간을 놓치면 최대 6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. 매번 우편으로 오는 안내문을 놓치거나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에, 검사 기간을 정확히 조회하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가장 정확하고 공식적인 방법은 바로 **TS한국교통안전공단**의 '사이버 검사소'를 이용하는 것입니다. 3단계로 차량 정기 검사 조회 방법을 안내해 드립니다.
1.가장 정확한 공식 조회 방법: 사이버 검사소
차량 검사 정보는 오직 TS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관리합니다. 이곳의 '사이버 검사소' 홈페이지를 통해 차량 등록번호만 있으면 누구나 검사 기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TS한국교통안전공단 **사이버 검사소** 접속
- 메인 화면에서 **'검사 유효 기간 조회'** 메뉴 선택
- **차량 번호** 및 **주민/사업자번호(앞 6자리)** 입력 후 조회
※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간단한 본인 확인만으로 조회 가능합니다.
2.내 차의 검사 주기 확인 (차종별 핵심 정리)
차량 검사 유효 기간은 차량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 다릅니다. 대부분의 일반 승용차(비사업용)는 2년 주기로 검사를 받지만, 자신의 차량 주기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| 차량 용도 | 최초 검사 | 정기 검사 주기 |
|---|---|---|
| **비사업용 승용차** (자가용) | 등록 후 4년 | 그 이후 2년마다 |
| **사업용 승용차** (택시 등) | 등록 후 2년 | 그 이후 1년마다 |
| **승합차, 화물차** (경/소형) | 등록 후 1년 | 그 이후 1년마다 |
3.검사 기간 놓치지 않는 알림 서비스 활용법
검사 기간을 깜빡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, 공단에서 제공하는 **검사 알림 서비스**를 신청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. 휴대폰 문자(SMS)나 이메일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**문자/이메일 알림 신청:** 사이버 검사소에서 '알림 서비스 신청' 메뉴를 통해 간단히 신청 가능합니다.
- **검사 기간 확인:** 검사 유효 기간 만료일 전후 **31일 이내**에 검사를 완료해야 합니다. (총 62일의 여유 기간)
4.미검사 시 부과되는 과태료 정보
자동차 검사를 정해진 기한 내에 이행하지 않으면 지연 기간에 따라 과태료가 단계적으로 부과됩니다. 이는 단순 벌금이 아닌 행정 처분 과태료입니다.
✔️ **검사 지연 과태료 (승용차 기준)**
- 검사 기간 만료일로부터 30일 이내: **4만원**
- 31일 이후부터 3일마다: **1만원씩 추가 부과**
- 최대 상한액: **60만원**
